
김영무
김영무 선주협회 부회장의 대안
“물류·철강·조선 등 글로벌 10위권
머스크·MSC도 누릴 수 없는 여건
부처 칸막이 풀 컨트롤타워 필요”
그는 아직 한국 해운산업이 되살아날 수 있다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물류 ▶철강 ▶조선 ▶조선 기자재 등 해운 유관 산업이 대부분 글로벌 톱 10위권 안팎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런 유관 산업이 시너지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김영무 부회장은 가장 큰 이유로 담당 부처가 분리돼 있다는 점을 꼽는다.
금융업은 금융위원회와 기획재정부가, 조선·철강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해운업은 해양수산부가 담당하고 있어 개별 업종이 각자도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해운업이 생존하려면 적기에 금융 지원이 필요합니다. 최근 6년 동안 국내 정책금융기관(산은·수은)이 해운업을 지원한 선박금융 규모(128억달러·15조원) 중 한국 국적 선사에 지원한 금액은 고작 19억달러(2조2000억원)에 불과합니다. 이 돈을 한국 해운사에 빌려준다면 해운업도 살리고, 해운사가 국내 조선사에 선박을 발주해 조선업까지 살릴 수 있습니다.”
DA 300
국내 화주들의 지원도 필요하다. 컨테이너선사의 화주인 물류사와 벌크선사의 화주인 철강사 등이 국적 해운사에게 물건을 맡기는 비율을 높이자는 것이다. 현재 국적선적하율(총수송량 중에서 자국 선박이 적취한 비율)은 20% 안팎이다. 이 비율을 두배로 높이도록 국내 화주들을 유도하자는 주장이다.
철강사는 해운사의 화주인 동시에, 조선사에게 후판을 제공하는 후방사업자이기도 하다. “조선사가 국내 철강사로부터 후판 주문을 늘리면, 철강사는 해운사에 국적선적하율을 높이는 식의 협력도 가능하다”는 게 김 부회장 생각이다.
해운사가 선박 발주를 늘려 조선업이 부흥하면, 후방산업인 조선기자재산업과 후판을 생산하는 철강업도 덩달아 좋아진다. 김 부회장은 “해운 유관 산업을 일괄적으로 맡는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 정부가 제안했던 해운산업 발전위원회를 대통령이나 총리 직속으로 조속히 설치해서 산업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문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