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8. 6. 09:41ㆍ카테고리 없음
고등셀파
한 · 중 · 일 동북아시아 시대
목차
1. 동북아시아의 경제 발전
▶ 세계 경제의 3대 핵심 지역 중의 하나로 급성장함
-
한·중·일의 교역 구조:중국이 고도 성장을 하면서 한·중·일 3국 간 무역량이 급증하여 최근 세 나라는 서로에게 1~3번째의 무역 상대국이 되었음. 우리나라는 중국 무역 수지는 흑자이나, 일본과의 무역 수지는 만성적인 적자이며, 유학생, 근로자, 관광객 등 인적 교류도 급증하고 있음
-
세계 3대 경제권:세계 인구의 1/4이 거주하는 동북아시아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경제가 발전하는 지역으로, 세계 경제에 대한 영향력은 계속 커질 것으로 예상됨. 세계의 국내 총생산(GDP)에서 한·중·일이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증가하여 2008년에는 24.1%에 달하였음. 이러한 변화는 최근 중국의 경제 성장과 관련되어 있음.
2. 배경
▶ 수출 지향적 공업화, 자유 무역 협정(FTA)을 통한 지역 경제 통합, 외국의 자본·기술의 적극적 도입 등
- 한국:국내 총생산(GDP) 세계 15위
- 중국:개혁·개방 정책 추진, 풍부한 노동력·천연자원, 외국인의 직접 투자 집중 → 국내 총생산(GDP) 세계 2위, 수출 증가율 최고 → 세계의 수출 시장 석권
- 일본:지식과 기술 집약적 산업 급성장, 높은 노동 생산성, 고부가 가치 제품의 생산 비율이 높음
3. 한·중·일 간의 교역 증가
▶ 지역 경제 공동체 구축 노력 → 우리나라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짐
1. 한반도
▶ 동북아시아의 네트워크 허브 → 동북아시아 교류의 중심 국가
-
서울을 중심으로 비행 거리 1시간 30분 이내에는 인구 1백만 명 이상의 대도시가 31개 위치하고 있으며, 2시간 30분 이내에는 60개가 위치하고 있음
-
이는 서울이 동북아시아 인구 밀집 지역의 중심에 위치함을 뜻하며, 우리나라가 동북아시아 교류의 중심이 된다는 것을 의미함
2. 전제 조건
▶ 남북 교류 및 남북 연결 교통·물류축 활성화 → 한반도의 지리적 이점 완성 → 동북아시아 교류축 형성의 토대가 됨
다음 지도의 A 부분에서 선박의 통행이 가능해질 때, 우리나라가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보기>
① 원양 어업의 어획량이 급증할 것이다.
② 농산물의 생산량이 크게 늘어날 것이다.
③ 부산항의 중심 항구 기능이 강화될 것이다.
④ 시베리아의 자원 개발 참여가 확대될 것이다.
⑤ 인천 국제공항의 여객 화물 운송량이 늘어날 것이다.
다음은 세계의 지역별 무역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분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① 북아메리카는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더 많다.
② 아시아·오세아니아는 역외 수출액이 가장 많다.
③ 동유럽은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경제 지역이다.
④ 서유럽은 역외 교역액보다 역내 교역액이 더 많다.
⑤ 세계에서 교역량이 가장 많은 항로는 북태평양 항로이다.
- 1.세계화 시대의 국토 인식
- 2.지형과 생태계
- 3.변화하는 기후 환경
- 4.거주와 여가의 공간
- 5.생산과 소비의 공간
- 6.우리나라의 지역 이해(1)
- 7.우리나라의 지역 이해(2)
- 8.국토의 지속 가능한 발전
출처 : 고등셀파 한국지리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