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신념으로 전쟁이끔

2009. 1. 4. 21:54정치와 사회

링컨, 신념으로 전쟁 이끌고 관용으로 치유했다

박보균 중앙일보 대기자 bgpark@joongang.co.kr | 제95호 | 20090104 입력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의 삶은 파란만장하다. 신화의 뒤쪽 링컨의 초상(肖像)은 복합적이다. 좌절과 성취, 시련과 환희가 교차한다. 정치 역정은 실패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대통령직의 정상 도전 때 대역전을 한다. 그는 겸손한 권력을 보여 줬다. 반면 어느 순간의 야심은 속물적이다. 일리노이주(州) 스프링필드는 링컨의 정치적 근거지다. 그곳에 그의 박물관이 있다. 링컨은 반전과 곡절의 드라마다. 디즈니랜드 컨셉트의 박물관은 그런 삶을 실감 나게 보여 준다.

링컨은 국가의 해체 위기 때 권력을 잡았다. 대통령 취임(1861년 3월) 직전 나라가 남북으로 쪼개졌다. 분열의 경계는 수도 워싱턴DC. 남부는 주(州)정부의 권한을 중시했고, 북부는 연방정부를 우선했다. 노예제 옹호(남부)와 폐지(북부)를 내건 대립은 험악했다.

링컨은 노예제를 반대했다. 극단적 폐지론자는 아니었다. 그럼에도 남부는 링컨의 백악관 입성을 거부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시작으로 그해 6월까지 남부 11개 주가 연방에서 탈퇴했다. 남부는 나라를 새로 세웠다. 아메리카연합(The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이다. 미시시피 상원의원 제퍼슨 데이비스를 대통령으로 뽑았다. 미국 연방(The United States of America·아메리카합중국)은 둘(북부 19개 주)로 갈라졌다. 독립(1776년) 85년 만이다.

링컨은 준비된 대통령이 아니었다. 켄터키의 가난한 집안 출신에다 자수성가한 변호사다. 내세울 경력은 연방 하원의원(2년)이다. 정적(스티븐 더글러스)과의 노예제 논쟁으로 전국적 인물이 되었다. 그러나 연방 상원선거에서 두 번 떨어졌고 부통령 선거도 실패했다.

참혹한 게티즈버그 전투 희생자를 추모한 연설(1863년11월) 장소에 링컨 기념상이 세워져 있다.
전임 대통령 제임스 뷰캐넌은 달랐다. 그는 준비된 대통령이었다. 연방 하원·상원의원, 영국 대사, 국무장관을 지냈다. 그러나 위기에 단호하게 대처하지 못했다. 그는 “남부 주들은 연방 탈퇴의 권한이 없다. 그러나 연방정부도 그런 행동을 막을 권한이 없다”고 말했다. 대책 없는 우유부단이었다.

용기가 없으면 준비된 대통령은 특별한 의미가 없다. 결단력이 없으면 경험은 단순한 연륜에 불과하다. 용기와 통찰력은 링컨의 위기관리 리더십을 성숙시켰다. 그의 지도력은 진화했다. 연방을 재통합했다. 노예제의 야만적 난제를 해결했다. 그리고 혁명적으로 세상을 바꿨다.

포용의 용인술
제16대 대통령에 취임한 링컨은 내부 단합이 절실했다. 그는 공화당 내 소수파였다. 대통령 예비선거 때의 거물 경쟁자들을 장관으로 기용했다. 윌리엄 슈어드(국무), 새먼 체이스(재무) 등이다. 나중에 민주당 출신 에드윈 스탠턴을 전쟁장관으로 발탁했다. 슈어드는 링컨을 “애송이 촌놈”으로 무시했다. 그러나 3개월 뒤 슈어드는 “실천력과 용기를 가진 드문 인물”로 그를 재평가했다. 링컨의 내각은 경쟁자들을 합친 탕평 내각(Team of Rivals)이다(도리스 굿윈). 링컨은 겸손한 자세로 이들의 역량과 장점을 이끌어 냈다. 그리고 상호견제와 균형으로 내각을 통솔했다. 굿윈은 포용의 용인술을 링컨의 성공 요소로 평가한다.

전쟁의 大義를 장악하다
링컨은 전쟁 대통령이다. 취임 한 달쯤 뒤 남북전쟁(내전·Civil War·1861년 4월~1865년 5월)이 시작된다. 그리고 암살 당한 직후 끝난다. 그는 국정 우선순위를 짰다. 첫 과제는 연방의 재통합이다. 그의 노예제 해법은 현실주의를 따랐다. 연방 보존 목표에 맞춰 단계적으로 접근했다. 그는 “전쟁 목표는 연방 분열을 막는 데 있다. 노예제를 없애거나, 유지하는 데 있지 않다”고 단언했다. 노예제 폐지를 앞세우면 연방 보존이 불가능하다는 게 링컨의 전략적 판단이었다.

노예해방 선언도 조건을 달았다. 그것은 “1863년 1월 1일을 기해 연방에 반란한 주의 노예는 영원히 자유의 몸이 되었음을 선언한다”로 돼 있다. 반란 주는 남부다. 링컨의 통치력이 미치지 않는다. 북부의 일부 노예주(메릴랜드·미주리)는 선언에 해당하지 않았다. 따라서 정식 해방된 노예는 없었다. “링컨의 노예제 폐지가 임시방편(tentative)에 가깝다”는 버락 오바마의 견해는 여기에 근거한다.

그러나 그 선언으로 링컨은 전쟁의 대의(大義)를 장악했다. 노예해방을 역사의 필연으로 전환시켰다. 전쟁은 선과 악의 대결이 됐다. 영국·프랑스는 남부연합을 국가로 승인할 수 없었다. 링컨 외교의 승리다. 전쟁 승리가 굳어진 1865년 1월 수정헌법 제13조가 의회를 통과했다. 그것은 모든 지역의 노예제 종식을 규정했다. 물론 노예제 퇴출이 흑백평등을 보장하지는 못했다.

원칙에 타협은 없다
남북전쟁은 거대한 재앙이다. 전쟁 4년여간 62만 명이 숨졌다. 그 숫자는 20세기 큰 전쟁(1차·2차대전, 한국전, 베트남전쟁)의 미군 전사자 전체를 합한 것보다 많다.
당시 인구는 3000만 명이다. 링컨은 처음엔 오판했다. 전쟁을 6개월의 단기전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내전은 계속됐다. 그럼에도 링컨은 남부와의 휴전을 거절했다. 남부연합을 ‘반란 세력’으로 규정했다. 그는 연방이 헌법(1789년)보다 먼저 성립했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어떤 주도 연방을 탈퇴할 권한이 없다고 단정했다. 그 원칙은 타협하지 않았다.

링컨은 완전한 승리를 추구했다. 협상으로 얻은 평화는 위선이며 분쟁의 불씨를 남긴다고 판단했다. 완벽한 승리가 정의로운 평화를 보장한다는 게 그의 신념이었다. 원칙의 리더십이 미국을 재통합한다.
링컨은 전시 긴급조치를 발동했다. 반역과 배신자를 영장 없이 투옥했다. 대통령의 비상대권은 독재 논쟁을 일으켰다. 그는 비난을 일축했다. 그의 권력의지는 전쟁 승리와 연방 재통합에 집중됐다. 그의 냉혹한 전쟁관은 전선에서 실천된다. 북군 윌리엄 셔먼 장군은 잔인한 초토화 작전을 폈다.

일관성이 부른 행운
1864년 링컨은 대통령 재선거에 나섰다. 그 무렵 북군 총사령관 율리시스 그랜트는 고전했다. 남군 로버트 리 장군의 천재적 전략에 말려 참혹한 희생을 치르고 있었다. 버지니아 전선에서 한 시간에 수천 명이 죽기도 했다. 도살(屠殺)적 희생이다. 유혈의 참극 속에 유권자는 평화를 갈구했다. 야당인 민주당은 평화 협상에 나서자고 했다. 유권자는 야당에 기울었다. 낙선의 분위기가 번졌다.

그때 행운의 여신이 찾아왔다. 9월에 셔먼의 승전보가 날아왔다. 그는 남부의 심장부 애틀랜타(조지아주)를 점령했다. 전황이 좋아지면서 링컨은 재선(11월)에 성공했다. 리더십의 일관성은 불리한 상황을 역전시킨다. 신념의 리더십이 갖고 있는 오묘한 이치다.

남군은 애포머톡스(버지니아주)에서 전쟁을 포기했다(1865년 4월). 리는 그랜트에게 항복했다. 애포머톡스에 가면 신선한 충격을 받는다. 그곳에는 흔한 전적비·기념비가 없다. 조촐한 안내문만이 있다. “미국이 다시 합쳐진 곳, 가장 위대한 드라마를 만든 곳”이라고 쓰여 있다. 승자의 환희, 항복의 절망감은 존재하지 않는다. 승패의 감정을 배제한 글귀가 링컨의 종전 정신이다. 적과의 화합과 관용이다. 한 달 전 그는 “누구에게도 원한을 품지 말고…정의의 이름으로 나라의 상처를 꿰매자”고 호소했다(재선 취임연설). 남군 항복 5일 뒤 링컨은 피격된다. 암살은 링컨을 순교자로 만든다.

언어의 마술사
링컨은 언어로 세상을 다스렸다. 그 상징은 게티즈버그 연설이다. 3분짜리 불후의 명연설은 참담한 전투의 희생자를 기렸다. 게티즈버그 전투(펜실베이니아주) 사상자는 5만 명. 그곳 국립묘지에 평풍 형태의 링컨 기념상이 있다.

연설은 272개 단어로 구성됐다. 핵심은 “이 나라는 새로운 자유(a new birth of freedom)를 탄생시켜야 한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는…”이다. 연설은 민주주의 이념을 간결하게 농축했다. 새로운 자유의 탄생은 만인 평등이다. 전쟁 목적은 연방 보존에다 흑백평등까지 진전한다. 링컨은 유머의 달인이다. 언어의 마술사다. 지도자의 유머와 낙관적 사고는 전염된다. 링컨의 유머는 국난 극복의 긍정적 에너지를 제공했다.

오바마의 1월 20일 취임사 주제는 게티즈버그의 ‘새로운 자유의 탄생’에서 따 왔다. 대통령의 말은 비전을 정립한다. 지도자의 언어는 대중의 상상력과 열망을 장악한다. “링컨의 위대함은 국가 위기에서 언어와 의지로 나라를 통합하고 바꾼 것이다.”(오바마 대통령 당선인).
기사 스크랩 확대축소프린트목록보기
SPECIAL REPORT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