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3. 15. 16:09ㆍ경영과 경제
|
|
200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가 발표되자 세상은 깜짝 놀랐다. 생뚱맞게도 심리학 교수였다. 경제학 이외의 학문을 연구한 교수가 상을 받은 것은 1969년 노벨경제학상 제정 후 처음이었다. 수상자의 이론도 파격 그 자체였다. ‘인간은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존재’라는 주류 경제학의 기본 명제를 뒤엎고 인간이 매우 비합리적인 존재라는 주장을 펼친 그의 이론이 바로 ‘행동경제학’이다. |
#1. 물리학자, 화학자, 경제학자가 무인도에 표류하게 됐다. 먹을 게 없어 쫄쫄 굶던 와중에 파도에 휩쓸려온 통조림 캔을 발견한 세 사람. 제일 먼저 물리학자가 말했다. “돌로 내리쳐 캔을 땁시다.” 화학자가 가세했다. “불로 가열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요?” 마지막으로 경제학자가 나섰다. “우선 여기 캔 따개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2. 유명한 경제학 교수가 제자와 열띤 토론을 하며 교정을 걷고 있었다. 제자가 운동장에서 100달러짜리 지폐를 발견했다. 제자 왈 “교수님, 저기 100달러짜리 지폐가 있습니다. 어서 가서 주워 오겠습니다.” 교수가 제자의 행동을 점잖게 막으며 이렇게 말했다. “이보게. 어떻게 저게 진짜 100달러짜리 지폐일 수 있겠는가. 진짜였다면 벌써 다른 사람이 주워 갔을 것이네.” 경제학자들은 듣기에 다소 불편할지 모르나 오직 합리성만을 추구하는 경제학자들을 비판할 때 단골로 사용되는 우스개다. 경제학은 자원의 희소성을 둘러싼 인간의 의사결정을 다루는 학문이다. 경제학자들은 인간이 이성에 근거해 항상 합리적인 결정만을 하는 존재라고 본다. 컴퓨터나 계산기와 비슷하다. 100달러짜리 지폐가 진짜라면 합리적인 인간인 다른 누군가가 먼저 가져갔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 이후 300년 넘게 굳어져온 ‘인간=합리적 존재’라는 인식에 도전장이 날아든 시기는 1979년이다. 이스라엘 출신 이민자 1세대인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 두 교수가 ‘전망이론(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 er risk econometrica)’이라는 요상한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전망이론을 쉽게 표현하면 이렇다. 인간은 주식 투자로 1달러를 벌었을 때 느끼는 기쁨보다 1달러를 잃었을 때 훨씬 큰 괴로움을 느낀다. 인간이 합리적인 존재라면 1달러를 벌었을 때 느끼는 기쁨과 잃었을 때 느끼는 괴로움이 똑같아야 한다. 하지만 왜 사람들은 기쁨보다 괴로움을 더 많이 느낄까. 인간은 늘 합리적인 존재라고 알려져 있는데 왜 사람들은 비합리적이고 편향적이며 오류투성이 행동을 서슴지 않을까. 인간을 이성적인 판단을 지닌 주체, 즉 ‘호모 이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라고 본 여느 경제학자들과 달리 심리학자인 카너먼 교수는 인간의 사고와 행동이 반드시 합리적이지 않다는 전제를 통해 경제 현상을 풀어내려고 했다. 또한 경제학이 비경험적인 과학, 즉 자연과학과 달리 연구실의 실험을 통해 입증하거나 해결 방안을 찾을 수는 없는 학문이라는 기존 통념도 완전히 허물어뜨렸다. 정통 경제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인간의 비합리적 의사결정 이유와 경로를 탐구하다 그가 창시한 학문이 바로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이다. 행동경제학은 심리학과 경제학이 결합해 태어난 일종의 퓨전 학문이다. 경제학계보다 먼저 이 퓨전 학문을 지지한 세력은 금융시장 종사자들이다. 이들은 자신을 포함한 많은 자본시장 종사자가 합리적으로 투자하지 않고, 집단적 광기나 손실회피 심리 등으로 어처구니없는 의사결정을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2008년 전대미문의 세계 금융위기가 발생한 후 천문학적인 연봉을 받는 월가 경영진이 이성적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결정을 내린 사실이 속속 드러나면서 행동경제학과 카너먼 교수의 위상은 더 높아졌다. ‘인간은 복잡한 존재’ 카너먼은 1934년 3월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리투아니아 출신 유대인 이민자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부모는 원래 프랑스 파리에 거주했으나 친척을 만나러 간 이스라엘에서 아들을 낳고 다시 파리로 돌아왔다. 카너먼은 여섯 살 때인 1940년 파리를 점령한 나치 독일군에 쫓겨 숨어 살았다. 유년시절에 겪은 끔찍한 공포는 카너먼에게 ‘인간이 합리적인 존재’라는 생각을 일찌감치 버리게 만들었다. 카너먼은 2003년 나치 점령 기간을 이렇게 회고했다. “1940년대 초 파리에 살던 유대인은 모두 ‘다윗의 별’(유대인을 구분하는 육각형의 독특한 별 모양 표시. 현재 이스라엘 국기에도 있음) 표시를 해야 했고 저녁 6시 이후에는 집 밖에 나설 수 없었다. 어느 날 친구들이랑 놀다가 6시 통금시간을 어기고 말았다. 골목길을 지나 집으로 돌아오는데 거리엔 아무도 없었다. 그때 한 독일 병사가 내게 다가왔다. 그는 다짜고짜 나를 포옹했다. 내가 유대인이라는 것을 알아차릴까봐 너무 무서웠다. 그런데 군인은 지갑을 열어 그의 아들인 듯한 소년의 사진을 보여주고는 돈까지 쥐여줬다. 집에 와서 기묘한 느낌 때문에 잠을 잘 수 없었다. ‘인간은 언제나 너무나 복잡하고 흥미로운 존재’라고 한 어머니의 말씀이 맞다고 확신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이스라엘 예루살렘의 헤브루대학에 진학한 카너먼은 심리학과 수학을 전공했다. 1954년 졸업 후 입대해 장교로 활동하다 1958년 미국 유학을 선택한다. 6년 만인 1964년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지만 미국 대학에서 바로 자리를 잡지는 못한다. 유창하지 않은 영어가 발목을 잡았다. 그는 모교인 헤브루대를 거쳐 1978년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교수로 부임했다. 전망이론의 공저자인 아모스 트버스키 교수 또한 헤브루대 출신인 데다 이스라엘군 복무 경험이 있어 둘은 잘 통했다. 1970년대엔 혁신적이었던, 심리학과 경제학을 접목하려는 시도 또한 궁합이 잘 맞는 학문적 동료를 만남으로써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하지만 트버스키 교수는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으로 1996년 59세로 사망하는 바람에 노벨경제학상을 받지 못한다. |
'경영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 기업 IDEO (0) | 2014.09.28 |
---|---|
한국 소득불평등, 2019년 OECD국가 중 1위 된다 (0) | 2014.09.14 |
대니얼 카너먼 2 (0) | 2014.03.15 |
‘행동경제학’ 창시자 / 대니얼 카너먼3 (0) | 2014.03.15 |
구두쇠 경영/ 이케아 창업주 (0) | 201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