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11. 5. 21:13ㆍ정치와 사회
한국의 재통일
한국의 재통일(한국 한자: 韓國再統一, 영어: Korean reunification)은 한반도의 두 정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장기적, 최종적으로 단일 정부로 통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의 핵무장에 따른 군사적 충돌 발생 시,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 위협과 손실 나아가, 미국와 중국간의 패권 경쟁(신냉전)에 따른, 세계적 핵전쟁 위협을 불식하게 된다. 통일된 한국의 경우, 러시아를 포함한 한·중·일·호 등 인근 아시아 지역 국가와 대규모 아시아 지역의 경제 공동체(A E U - Asian Economic Union) 로써, 상호 교류 협력을 통해 유럽 연합(EU), 아랍 연맹(Arab League) 및 유라시아 경제 연합(EEU - Eurasian Economic Union) 등 세계적인 다른 경제 공동체와 공동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인해 세계의 경제 정치 안보적으로 주는 영향이 커 통일된 한반도는 작게는 대외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수출 주도형 취약한 경제 구조를 가진 한국경제에 희망을 주며, 크게는 기존의 미국 주도의 경제 질서가 미국 경제 악화등으로 침체 터널에 갖힌 세계 경제에 새로운 가동 엔진이 되어 동아시아 지역의 핵전쟁 위협이 사라진 거대한 경제 공동체의 탄생을 통한 활력소가 되어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무역 교역량 증가 및 한국 대외 경제 정책 연구원(KIEP) 조사 결과 등을 기준하면 최소한 10년내 300% 이상의 추가 확장이 예상된다.
한국의 재통일에 대한 용어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측에서는 남북통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서는 북남통일(조국통일)이라고 표기한다.
목차
[숨기기]분단 이전[편집]
한국은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 이후 통일 국가를 유지하고 있었다. 즉 676년에 신라는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으며, 1910년 일제 강점기로 일제의 지배를 받는 동안에도 하나의 지역으로 되어있었다. 즉 약 1300년 전을 기준으로 한민족은 통일된 국가를 이루었으며, 1937년 7월 7일 일본 제국의 중화민국 침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어, 1945년 8월 6일, 일본 제국 히로시마 시와 나가사키 시에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 이후,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이 무조건 항복하면서,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38선 분할 점령안을 소련과 미국이 상호 합의 하여 38선을 기준으로 남한과 북한이 분단되었다. 이후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이후, 3년 1개월 후인 1953년 7월 27일 발효된 한국전쟁의 정전협정으로 휴전선(군사분계선, MDL, Military Demarcation Line)과 비무장지대(MDL로부터 남북으로 각2km)를 사이에 두고 분단되었다. 남한과 북한이 다시 통일을 하는 것은 짧게 보면, 2016년을 기준으로, 약 70년간의 민족의 분단을 극복하는 것이며, 길게 보면, 1000년 전부터 이루어졌던 민족의 통합을 다시 이루는 것이다.
연방제와 흡수 통일 방식[편집]
통일의 방식은 연방제에 의한 통일과 흡수 통일에 의한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방제에 의한 통일 방식은 상호 대한민국과 북한간에 2체제 2정부를 인정하면서, 상호 교류 협력을 통해서 상호 공동의 이익을 증진하면서, 분단의 장벽을 극복하고, 장기적이며, 최종적으로는 단일 국가 및 단일 정부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흡수 통일 방식은 독일과 같이 평화 통일을 이루지만, 한쪽에서 천문학적인 통일에 따른 경제적인 비용을 부담하면서, 한쪽의 정부를 흡수하는 통일 방식이며 독일의 경우 1800 조원 이상이 소요되었으며, 매년 1000 억 유로 이상이 소요되고 있다-" 미국 랜드 연구소(www.rand.org)의 분석 결과" 다른 흡수 통일 방식은 비평화적인 방식으로, 남북간의 통일은 전쟁에 의한 비평화적인 방식의 통일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무력침공에 의한 국제법상 정복의 의미로 통일이란 단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국제적으로 침략전쟁이라고 규정된 한국 전쟁의 경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것을 '조국통일전쟁'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통일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상 평화적인 의미의 통일인지 비평화적인 적대적 통일인지 의미인지는 구별해야 한다. 강경파들이 사용하는 통일의 경우, 실질적으로는 적대적 통일인 침략전쟁을 의미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
분단의 경로[편집]
제2차 세계 대전뒤에 연합국은 일본제국의 식민지였던 조선을 신탁통치로 통치할 계획을 실시했고 38선을 경계로 하는 2개의 구역으로 조선을 분할했다. 그리고 남쪽에 미군정이, 북쪽에 소군정이 통치했고 서로 자기 지역에서 군정을 개시했다. 그러나 남쪽의 민족주의자들과 일부 공산당원들이 신탁통치결사반대 운동을 벌이자 미소는 신탁통치의 실시를 둘러싸고 대립이 깊어졌고, 최종적으로 한반도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고 하는 2개의 국가로 분열된 상태가 되었다. 북한에서는 일제 강점기 시대, 북한 내의 항일 무장 투쟁 세력이었던 김일성을 주축으로한 세력의 일본군을 상대로한 승리에 의해서, 비록 일본군 전체를 상대로한것이 아닌, 대규모의 전투는 아니었지만, 북한 내에서의 민족적 자긍심을 갖을수 있는 큰 계기가 되었었으며, 이를 통해서, 김일성이 북한 민심을 얻었으며, 1948년에는 조선반도 총선거에 기초하여 김일성을 수상, 박헌영·홍명희 등을 부수상으로 하여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출범하였다.[2] 그 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 적화통일을 목표로 한국 전쟁을 일으켰지만, 미군을 중심으로 한 국제 연합군의 반격으로 퇴각했고, 휴전에 의해서 한반도는 군사 분계선으로 분단이 되었다. 아직도 남북한은 휴전한 상태로 대치 중이다.
통일운동 및 통일정책[편집]
군정기[편집]
좌우합작 운동[편집]
좌우합작운동은 1946년 통일 임시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좌파, 우파세력이 합작을 하여 연대를 추진하였던 운동을 말한다. 이 운동에는 중도파 세력 인사들이 주축으로 구성되어 전개되었다.
남북 연석회의[편집]
남북 연석회의는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남북의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이 5·10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통일민주국가 수립을 위해 대책을 논의한 회담을 말한다. 1948년 4월 19일부터 시작된 이 회의는, 김구, 김규식 및 김일성, 김두봉과 같은 남북의 명망가들이 다수 참석하여 그 소기의 목적을 이루는 듯하였으나 결국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나고 말았다.
대한민국[편집]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편집]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1989년 9월 11일 국회에서 노태우 대통령의 특별선언을 통해 발표됐다. 1982년 발표된 '민족화합민족민주통일방안'을 보강한 것이다. 자주, 평화, 민주를 3대 원칙으로 한다. 발표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방제 통일안에 가장 근접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음의 3단계로 통일을 이룬다
- 민족공동체헌장 채택
통일이 될 때까지 남북관계를 이끌어갈 수 있는 규칙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 남북연합
민족공동체헌장에 기초하여, 남북정상회의와 실행기구인 남북각료회의, 남북평의회 등의 과도기구를 설치
- 통일헌법 제정으로 통일민주공화국 건설
남북평의회에서 마련한 통일헌법을 바탕으로 총선거를 실시해 통일국회와 통일정부를 구성
민족공동체통일방안[편집]
김영삼이 채택한 통일방안이다. 노태우 정부의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약간 수정하였다. "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 이라고도 한다.
"선 교류 후 통일"의 원칙하에, 다음의 3단계를 거쳐서 통일을 이룬다는 구상이다.
- 화해협력단계
- 남북연합단계
- 통일국가 완성단계
햇볕 정책[편집]
햇볕정책은 남북한 간의 긴장관계를 완화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개혁·개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김대중 정부가 추진하던 대북 정책이다. 대한민국의 민주당은 햇볕정책을 지지하고 있다. 민주당이 정권을 잡았던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시절 햇볕정책에 의해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정당인 새누리당과 자유선진당 등의 보수 세력은 대부분 햇볕 정책 때문에 천안함 사태, 연평도 포격 사건 등이 일어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햇볕정책의 3대 원칙은 아래와 같다.
- 첫째, 북측의 무력 도발을 허용하지 않는다.
- 둘째, 남측은 흡수 통일을 시도하지 않는다.
- 셋째, 남측은 화해와 협력을 추진한다.
상호주의 정책[편집]
햇볕 정책의 비판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대화나 무역이 평화적인 한반도 통일의 전망을 개선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고, 햇볕정책은 비민주적으로 전체주의적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체제 강화를 돕고 있다고 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정당인 한나라당은 햇볕정책에 반대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경제원조와 양국간의 교류에 대해 상호주의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뉴라이트전국연합 등 우익 정치단체들도 이러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일부 탈북자 역시 햇볕정책에 대해 반대를 하고 있다.
휴전선 이북 영토 관리[편집]
이북 5도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에 위치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헌법에 의거, 휴전선 이북 지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할 지역,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지역 포함)을 자국 영토로 규정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실체를 형식적으로 부정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에 따라 1962년에 《이북 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1970년에 《이북5도직제》(以北五道職制)를 제정하여 통일 정책을 뒷받침하고 있다.
자유통일 방안[편집]
대한민국의 헌법, 법률을 바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통치하는 북한(North Korea) 지역에 도입하는 흡수통일 방안이다. 대한민국은 북한 지역에서 대한민국 주도의 흡수통일을 원하게 될 경우에는 이에 응할 계획이나, 절대로 먼저 시도하지는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아래는 문화어로 표기한 내용이다.
민주련방공화국창립방안[편집]
- 국가활동의 모든 분야에서 자주성을 확고히 견지하며 자주적인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 나라의 전 지역과 사회의 모든 분야에 걸쳐 민주주의를 실시하며 민족의 대단결을 도모하여야 한다.
- 북과 남사이의 경제적 합작과 교류를 실시하며 민족경제의 자립적발전을 보장하여야 한다.
- 과학, 문화, 교육분야에서 북과 남사이의 교류와 협조를 실현하며 나라의 과학기술과 민족문화예술, 민족교육을 통일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 북과 남사이에 끊어졌던 교통과 체신을 련결하며 전국적범위에서 교통, 체신 수단의 자유로운 리용을 보장하여야 한다.
- 로동자, 농민을 비롯한 근로대중과 전체 인민들의 생활안정을 도모하며 그들의 복리를 계통적으로 증진시켜야 한다.
- 북과 남사이의 군사적대치상태를 해소하고 민족련합군을 조직하며 외래침략으로부터 민족을 보위하여야 한다.
- 해외에 있는 모든 조선동포들의 민족적권리와 리익을 옹호하고 보호하여야 한다.
- 북과 남이 통일이전에 다른 나라들과 맺은 대외관계를 올바르게 처리하며 두 지역 정부의 대외활동을 통일적으로 조절하여야 한다.
- 전민족을 대표하는 통일국가로서 세계 모든 나라들과 우호관계를 발전시키며 평화애호적인 대외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조국통일을 위한 전민족대단결 10대 강령[편집]
- 전민족의 대단결로 자주적이고 평화적이며 중립적인 통일국가를 창립하여야 한다.
- 민족애와 민족자주정신에 기초하여 단결하여야 한다.
- 공존, 공영, 공리를 도모하고 조국통일위업에 모든것을 복종시키는 원칙에서 단결하여야 한다.
- 동족사이에 분렬과 대결을 조장시키는 일체 정쟁을 중지하고 단결하여야 한다.
- 북침과 남침, 승공과 적화의 위구를 다같이 가시고 서로 신뢰하고 단합하여야 한다.
- 민주주의를 귀중히 여기며 주의주장이 다르다고 하여 배척하지 말고 조국통일의 길에서 함께 손잡고 나가야 한다.
- 개인과 단체가 소유한 물질적, 정신적 재부를 보호하여야 하며 그것을 민족대단결을 도모하는데 이롭게 이용하는것을 장려하여야 한다.
- 접촉, 래왕, 대화를 통하여 전민족이 서로 이해하고 신뢰하며 단합하여야 한다.
- 조국통일을 위한 길에서 북과 남, 해외의 전민족이 서로 연대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 민족대단결과 조국통일위업에 공헌한 사람들을 높이 평가하여야 한다.
민족대단결 5대 방침[편집]
- 민족의 대단결은 철저히 민족자주의 원칙에 기초하여야 한다.
- 애국애족의 기치,조국통일의 기치밑에 온 민족이 단결하여야 한다.
- 우리 민족의 대단결을 이룩하자면 북과 남 사이의 관계를 개선하여야 한다.
- 우리 민족의 대단결을 위하여서는 외세의 지배와 간섭을 반대하고 외세와 결탁한 민족반역자들, 반통일세력을 반대하여 투쟁하여야 한다.
- 민족의 대단결을 이룩하기 위하여서는 북과 남, 해외의 온 민족이 서로 래왕하고 접촉하며 대화를 발전시키고 련대련합을 강화하여야 한다.
조국통일 3대 원칙[편집]
- 자주통일
- 평화통일
- 민족대단결
남북한 정부의 통일 정책 비교[편집]
남북한 구분 | 통일 정책 요약 [1] [2] |
---|---|
남한 정부 |
|
북한 정부 |
|
남한 정부의 통일 정책[편집]
남한 정부 (임기) | 통일 정책 및 실적 [3][4] |
---|---|
문재인 정부 (2017/5/10 ~ 2022/05/10) |
|
박근혜 정부 (2013/02/25 ~ 2017/03/10) |
-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국가 비전과 통합적 통일정책, 통일 정책의 과제와 대안’을 주제로 한 평화재단 등은 박근혜 정부가 진정한 통일의 의지가 있다면, 일단 통일을 위한 발걸음을 한걸음이라도 조금씩이라도 진전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함. - 즉 현실적인 통일은 남한 주도의 통일 진행이 실제로 가능한 것이므로 북한의 인신 공격과 감정적 비방에 맞서는 비판 대신 지속적인 대화와 추진이 필요함을 강조. - 박근혜 정부의 북한이 신뢰 있는 행동을 할 때만 통일에 대한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조건적 대응은 통일 정책이 진전되기 어렵다는 지적 - 북한과 신뢰가 갖추어져야만, 남북 관계 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전 이명박 정부처럼 임기 5년간 통일 정책 진전 아니라, 오히려 후퇴 한다는 문제가 제기됨. |
이명박 정부 (2008/02/25 ~ 2013/02/24) | |
노무현 정부(2003/02/25 ~ 2008/02/24) |
|
김대중 정부(1998/02/25 ~ 2003/02/24) |
|
북한 정부의 통일 정책[편집]
북한 정부 (임기 | 통일 정책 등 [6],[7] |
---|---|
김정은 정권 (2011/12/17 ~ 현재) |
|
김정일 정권 (1991/12/24 ~ 2011/12/17) |
|
김일성 정권 (1948 ~ 1994/07/08) |
|
남한의 통일 정책의 흐름[편집]
- 1950년대에는 이승만 정부에 의한 무조건적인 북진통일론이 추세
- 1960년대 박정희 정부에서는 선(先)건설, 후(後)통일론을 추진
- 1970년대 박정희 정부에서는 국제적인 데탕트 분위기에 따라 7·4 남북 공동 성명과 6·23 선언을 발표함. 이는 1974년부터 남한의 1인당 국민소득이 북한의 1인당 국민소득을 앞지르기 시작했기에 나온 자신감의 결과이기도 함
- 1980년대 전두환 정부에서는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을 발표하고, 최초로 남북 이산가족이 상봉함
- 노태우 정부에서는 7·7 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특별 선언과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발표하고, 북방 정책을 추진해 남북한이 UN에 동시에 가입하게 됨. 그리고 남북 기본 합의서와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을 체결함
- 김영삼 정부는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발표하고, 남북정상회담 추진 등의 적극적인 대북 정책으로 통일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1994년 김일성 사망으로 중단
-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통일을 감당할 독자적 경제적 능력에 부담을 적게 하기위하여 , 평화 공존 및 남북 연합에 의한 통일 방안을 추진을 하며 2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을 실시하여 6.15 남북공동선언을 이끌어냄.
- 이명박 정부는 2011년 김정일 사망으로 인한 김정은의 정권장악 등과 민주당계 정부에서 행하였던 남북 간 합의의 실천에 소극적인 태도로 통일교류가 적었는데, 북한의 핵개발과 천안함 사건, 연평도 포격 등 연이은 북한의 대남도발 문제로 남북관계가 급격히 냉각.
- 박근혜 정부는 다시 유연한 상호 주의를 바탕으로, 국제 협력과 점진적 통일을 통해서 구체적 실현 방안을 추진 중이며, 기존에 합의된 통일 정책에 대해서는 인정하였으나, 북한에서 기존 남북 정상간에 합의된 통일 정책 방향에 대한 발전 요구에 대한 요청의 구체적 대응은 보류 중
독일의 통일 및 한반도 통일 및 정책에 대한 시각[편집]
- 독일의 통일은 동독 인민회의에 결정에 따른 상호 합의에 의한 연방 편입방식에 의한 통일이며, 일부 부정적인 통일론자들이 언급한 일방적인 흡수 통일이 아니었다.
- 독일은 20년 정도 전에 통일 당시 7700 억 달러 무역 규모가 3조 달러로 4배가 증가하고, 무역 흑자가 2500억 달러로 동독에 작센, 튀링겐 주 등 광학전지 등 최첨단 산업으로, 기존 영국, 프랑스 주도 유럽을 이제는 독일이 주도하고 있다.
- 한반도의 통일은 지정학적 위치 등으로 인해서 장기적으로 동북아 경제 발전에 일본과 함께 주도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 남한의 30배가 넘은 북한 지하자원 가치 1경원 이상의 가치와 북한의 노동력, 남한의 자본과 기술이 만들어내는 시너지 등에 대해서 골드만 삭스의 통일 강국론이 있었고, 세계적 투자자인 짐 로저스는 "전쟁 위험이 없어진, 통일된 한반도의 북한 지역에 전 재산을 투자하겠다." 공언 하였다.
- 한반도 통일은 독일 통일보다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1991년부터 남북 관계를 연구해 온 독일의 블륨 교수 및 오스트리아의 프랑크 교수가 근거 있는 주장을 한다.
- 북한의 주체 사상 체제와 군사 정권의 건재함 등으로, 독일과는 다르게 통일을 준비할 시간적 여유가 있으며, 북한 주민의 95% 이상이 통일을 희망하고 있다.
- 통일이 되었을 때 추진해야 할 주요 5가지 사항은 우선 재산권 반환 대신 보상을 원칙으로 하며, 둘째 인프라 개발 특별법으로 빠른 시간에 인프라를 개발하며, 세번째는 북한의 인공위성 및 미사일 개발 등 다수의 우수 과학 기술진을 보호하며, 네번째 북한에 공장 건설 등 직접 투자를 촉진하고, 다섯번째는 대규모로 훈련된 인민군 조직을 사회 인프라 건설 사업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 한반도 통일은 제로 베이스 상태의 북한이 최적의 시점이며, 경제가 회복된 후에 해야 한다는 주장은 오히려 위험하다.
- 과거 남북 교류 협력 기금의 일부분이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미사일 개발과 핵을 보유할수 있도록 바탕이 되었으며, 북한에 자금을 더 투입된다고 해도, 북한 주민 식량 배급량과 체제 유지를 위한 군사력 증강에 투입되게 되게 되거나, 비효율적으로 기존 시설의 유지 보수 부분에 사용될 것이다.
- 최신 기술과 노하우를 가진 남한의 지원으로 북한의 허허 벌판에 새롭게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야 하며, 비용을 절감 효과를 언급하면서, 북한에 대규모 자금지원을 통한 후, 북한의 경제 개발후에 해야 한다는 통일 시기 지연보다는, 빠른 통일 후 체계적인 북한 인프라 개발이 효과적이다.
통일 과정의 해결 과제들[편집]
경제, 통일 비용, 이념적 성향[편집]
남북간의 경제는 상호 통합이 난해한 격차가 굉장히 큰 상황이며, 상호 이질적이며, 크게 3가지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이는 각각 소득의 비대칭성, 산업구조의 비대칭성, 경제제도의 비대칭성으로, 남북 간 국민소득의 격차는 40배가 넘는 수준이며, 탈공업화, 지식경제 사회로 진입 중인 남한과는 다르게, 북한은 제조업 기반 경제의 실패로 일차 산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퇴행적 과잉 공업화 경제이고, 시장경제제도를 유지중인 남한과 달리 북한은 계획 경제질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비록 장기적으로 볼 때 통일이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편익이, 통일에 지출되어야 하는 투자 비용보다 크다는 주장에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동시에 이러한 편익은 과도기를 지나서 단계적으로 오는 반면, 통일 비용은 통일 직후부터 집중적으로 발생을 예상해야 하므로, 단기적으로 과도기 에서는 경제적 큰 비용 지출을 예상해야 한다.[13]
• 통일비용에 대한 예상 1)초기 안정화 비용 2) 분야별 통합비용 3) 사회복지비용 4) 경제적 인프라에 대한 투자비용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 이념적 성향과 사회적 모순 및 정치적 이해관계 해소: 분단 70년 동안 남한과 북한 사람들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지게 되었으며, 상호 통일 이후에도 서로를 외국인처럼 생각할 수도 있다. [14]
• 과도기 필수 투자 비용 과 연방제 정부간 협력 조율: 남한 사람은 굶주리는 북한 주민들에 대한 최소한의 생계를 위한 복지 비용 및 원시적인 수준의 공업, 도로, 전기, 철도등의 건설 비용을 예상해야 하며, 북한 사람들은 남한의 경제적 지원으로 굶주림에서 생활은 좀더 좋아 지더라도, 70년 동안 익숙해진 북한이라는 세계와 정신적인 주체 사상에 대한 혼란을 막을수 있도록, 남북한간 사전 협의된 연방제에 의한 통일이후, 남-북한 정부간의 긴밀한 협력과 역할이 필요하다. 즉, 장기적으로 통일 직후의 과도기가 끝난 다음, 통일한국은 경제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정치, 군사, 사회적인 부분에서 엄청난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문제는 과도기이며, 통일은 결국 한민족에겐 대박이지만, 통일 직후에는 영광스러운 길로 가는 험한 과도기의 길을 거쳐가려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 하다 [15]
• 탈북자 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 협력과 조율: 2014년 10월 10일 북한 정권을 비난하는 대북 전단 20만장을 경기도 차주 오두산 통일 전망대에서 날려 보낸후, 남북간 총격전 발생 –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행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와 추가 발생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각주[편집]
- 이동 ↑ http://www.korearoot.net/unikorea/uniclass/tongil22.htm
- 이동 ↑ http://www.konas.net/article/article.asp?idx=48982
- 이동 ↑ http://www.dailynk.com/korean/sub_list.php?cataId=nk01401
- 이동 ↑ http://www.dailynk.com/korean/sub_list.php?cataId=nk01412
- 이동 ↑ http://www.dihur.co.kr/1441
- 이동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2/03/2014020300190.html
- 이동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2/03/2014020300213.html
- 이동 ↑ http://www.kinu.or.kr/upload/neoboard/DATA05/1116-%C5%EB%C0%CF%B1%B3%C0%B0%C0%DA%B7%E1%C1%FD%28%C3%D6%C1%BEOK%29.pdf통일교육(과거•현재•미래) – 통일 교육원
- 이동 ↑ dae7292.com.ne.kr/7st%20moral/72222.htm 남북한의 통일 정책 비교
- 이동 ↑ 한반도 통일 독일 보다 쉽다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58
- 이동 ↑ 한반도 통일, 제로베이스 상태의 북한이 낫다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1412&num=102773
- 이동 ↑ 통일대박'을 위한 독일의 통일 훈수가 기대된다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1412&num=103047
- 이동 ↑ 이 석, 2010.
- 이동 ↑ 란코프, 2014.
- 이동 ↑ 란코프, 2014.
참고문헌[편집]
- 고일동, 독일통일 3주년의 경제적 평가와 남북한 경제관계에 대한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1993
- 고일동, 남북한 경제통합의 새로운 접근방법 : 독일식 통일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KDI/DIW 공동연구), 한국개발연구원, 1997
- 김수용, 통일전후의 남북한 경제통합과 통일비용, 서강경제논총, 서강대학교 경제학연구원, 2001
- 박성기, 통일비용절감을 위한 북한토지개혁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서사봉, 남북 통일-분단비용의 크기 비교,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이광영, 통일한반도의 남북연합단계 적용 가능성 연구 : 초국가기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이 석, 통일의 경제적 문제: 개념과 시각, 북한경제리뷰, 2010.
- 이영선, 독일 통일과정에 비추어 본 한국의 경제 통합 전략, 한국학술진흥재단, 1998
- 한기성, 통일비용 최소화를 위한 정책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오연호,법륜 새로운 100년 - 오연호가 묻고 법륜 스님이 답하다, 오마이북 2012
- 란코프 [1] 남한의 통일대박론 – 한국 국민대 교수 2014
- 엄상윤, 한반도 통일의 국제적 여건과 국제협력 추진방향, 세종정책연구소,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3
- 엄상윤, 북한의 핵무장과 한국의 안보 정치 경제적 위협, 세종정책연구소,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 한반도평화포럼 , 통일은 과정이다 - 화해, 협력의 길로 나아가는 통일담론, 서해문집, 2015
- 유라시아 경제 연합 http://president.globalwindow.org/kz.relateData.InDepthDataDetail.do?data_seq=89 대한 무역 투자 진흥 공사(KOTRA), 2015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숨기기] 민족통일주의 | |
---|---|
아프리카 | |
아시아 | |
유럽 | |
아메리카 |
'정치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세 리잘 마지막 인사 (0) | 2017.11.06 |
---|---|
호세 리잘, 마지막 인사 (0) | 2017.11.06 |
볼세비키 혁명 100년 (0) | 2017.11.04 |
함재봉 한국사람 (0) | 2017.11.04 |
5·18 민주화운동에 어느 가톨릭 신자가 드리는 사죄의 글 (0) | 2017.08.08 |